안녕하세요 궁금한 정보를 간단하고 이해하기 쉽게 전달해드리는 - 슈트남 - 입니다.
오늘 알아볼 정보는 여름, 겨울에 많이 발생하는 콜린성 두드러기(콜린성 알레르기)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콜린성 두드러기(콜린성 알레르기)에 대해 잘 모르시는 분들은 모기 물린 것처럼 빨갛게 부어올르며 가려워 단순하게 모기에 물렸다고 생각하시는 분들이 많이 있습니다. 하지만 모기에 물린 것과는 전혀 상관없는 콜린성 두드러기(콜린성 알레르기) 일 가능성이 매우 큽니다. 콜린성 두드러기의 정확한 원인은 밝혀지지 않았지만 연관 있는 행동과 치료방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콜린성 두드러기 원인
콜린성 두드러기(콜린성 알레르기)는 정확 안 원인을 현제 정확한 원인이 밝혀지지 않았습니다. 하지만 발생한 환자들의 공통된 행동이나 습관을 통해 간접적으로 원인을 알아볼 수 있는데 해당 원인은 크게 3가지 정도로 추려볼 수 있습니다.
1. 추운 곳에서 더운 곳으로 갑자기 들어오는 경우
2. 과도한 스트레스
3. 건조한 피부, 과도한 운동
등으로 원인이라고 많은 의사(학자)들은 예상하고 있습니다. 심부의 체온이 1도 정도 상승과 관련한 매개 물질이 피부 모세혈관과 소정맥의 투과력을 증가시켜서 단백질과 액체가 혈관 밖으로 유출됨으로써 피부 변조 반응으로 나타나는 것이라고 보고 있습니다. 예) 무더운 여름에 너무 차가운 물로 샤워, 추운 겨울철 갑자기 따뜻한 물로 샤워 등


콜린성 두드러기 증상
콜린성 두드러기의 대표적인 증상으로는 가려움, 따가움을 동반합니다 대부분은 일정 시간 후 가라앉는 경우가 대부분이나 심한 경우 온몸에 가려움, 따가움을 경험하게 됩니다 단순한 가려움, 따가움으로 끝나는 것이 아닌 고통 수준으로 느끼게 됩니다. 심한 경우 눈물을 흘릴 정도의 고통, 호흡 곤란, 현기증 등을 느끼게 되며 극소수 환자에게는 우울증과 대인기피증을 동반했다는 보고가 있습니다. 콜린성 두드러기(콜린성 알레르기)는 발바닥과 손바닥에는 일반적으로 발생하지 않는 편이며 지루성 피부염 같은 질환을 가지고 있다면 증상이 더욱 악화될 수 있다. 주로 발생하는 부위는 얼굴, 목, 팔, 허벅지에 많이 발생합니다.
콜린성 두드러기 치료방법
콜린성 두드러기(콜린성 알레르기)는 원인이 정확하게 밝혀지지 않는 병으로 정확한 치료약은 없지만 증상을 완화시키는 약은 있습니다.
내과, 피부과에서 진찰을 받게 되면 항히스타민제를 처방받게 됩니다. ( 의사의 처방이 없이 항 히스타 미니제를 약국에서도 판매합니다)
근본적으로 콜린성 두드러기를 치료할 수 없지만 일시적으로는 두드러기를 억누르는 약물이며 항히스타민제의 부작용으로는 졸림, 구토, 기억력 감소, 치매 등이 있습니다. 증상이 심하지 않은 환자의 경우 식습관과 생활습관 교정으로 효과를 볼 수 있습니다.
① 자극적인 음식 피하기
② 인스턴트식품 피하기
③ 하루 10분 정도의 간단한 운동( 조깅, PT체조 등)
④ 사워 할 때 미지근한 물로 샤워하기 ( 중성 비누 사용)
⑤ 사워 후 피부가 건조하지 않게 보습제 바르기
콜린성 두드러기(콜린성 알레르기)는 위처럼 5가지를 통해 가려움, 따가움을 예방 및 증상 완화의 효과를 볼 수 있습니다. 위 5가지 말고도 몸에 꽉 끼는 옷 피하기, 스트레스 해소 등이 있습니다 두드러기는 원인을 발견하기가 매우 어려움으로 병원에 내원해 진료를 받은 후 처방받은 항히스타민제를 복용하며 위에 설명드린 5~7가지의 방법들을 같이하신다면 완치할 수도 있습니다.



마치며
전 세계 적으로 유명한 아이돌인 방탄소년단(BTS)의 멤버인 뷔씨도 앓고 있다고 하며 10대~20대가 가장 많은 발병률을 보이고 있습니다. 위에 설명드린 것처럼 정확한 원인과 약품이 없으나 식습관, 생활습관 등을 교정함으로써 많이 호전될 수 있으니 콜린성 두드러기(콜린성 알레르기)를 앓고 있다면 식습관, 생활습관 등을 신경 써서 관리하시기 바랍니다. 단순히 모기 물린 것처럼 두드러기 가아닐수 있으니 꼭 한 번 확인해보시기 바랍니다.